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57)
전세 보증금 떼일까 겁이 난다면? 최근에 빌라왕, 건축왕 등으로 세입자들이 불안하다. 내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방법은 없을까? 그 방법 중 가장 안전하고 간편한 방법이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보증발급금액이 월별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전세보증금 미반환 공포가 커지자 세입자들이 앞다퉈 보험에 가입하는 추세다. 하지만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가입만 한다고 무조건 보증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건 아니라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내 전세보증금, 어떻게 해야 지킬 수 있을까? 전세보증금 보장해주는 상품 세 가지(HUG, HF, SGI)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이하 전세보증보험)은 말 세입자가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보험' 상품이다. 집주인이 임대차 계약 기간이 끝났는데도 보..
부동산 중개업소 선택이 중요하다! 전세계약을 했는데 알고 보니 공인중개사가 아니라 중개보조원이었다면 얼마나 황당할까? 이런 일이 없을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 않은 게 현실이다. 믿을만한 부동산 중개업소(또는 중개업자)는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중개보조원이란 공인중개사 자격이 없는 자가 중개업소에서 통상 ‘실장님’이라 불리는 사람을 말한다. 중개보조원과 공인중개사는 전혀 다르다. 공인중개사법 제2조에 따르면 중개보조원은 개업공인중개사에 소속돼 중개대상물에 대한 현장 안내나 일반 서무 등 단순 업무보조 역할만 해야 한다. 자격증이 없기 때문에 직접 계약서를 작성하거나 계약 내용을 설명해서도 안 된다. 만약 중개보조원이 직접 물건을 중개하거나 공인중개사를 사칭하면 1년 이하 징역 혹은 10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한다. 하지만 중개업소에 ..
전세보증금이 부담된다? 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세보증금이 부담되어 일정금액의 보증금과 월세를 혼합해 계약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살다 보면 주위 전세대비 비싸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요즘은 인터넷 검색 몇 번만으로도 간편하게 임대차 시세를 알아볼 수 있다. 그렇다고 단편적인 정보만 보고 계약을 결정하는 건 금물이다. 지금은 발품 보다는 '손품'이 중요한 시대다. 여러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통계나 서비스를 다중 비교하면 더 정확한 최근 시세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월세 전환 시 적정 가격이나 관리비도 계산해볼 수 있다. 내가 관심 있는 지역 또는 주택의 전셋값은 적절한 걸까? 공인중개사 유리벽에 붙어있는 가격을 보면 어느 정도 비슷한 수준이라 금방 시세를 알 수 있다. 가령 A아파트 전용면적 59㎡의 전세 매물이 보증금 3억7000만~4억원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