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약, 운이 아닌 실력이다. 청약의 목표와 전략을 가져야 한다!

반응형

청약에도 전략이 있어야 한다. 전략적 청약을 통해 경쟁률이 낮은 타입을 고르고 가점이 낮다면 추첨제를 찾고, 통장 돌리기 혹은 시간차 청약 등을 통해 당첨확률을 높일 수 있다. 어떤 단지에서는 70점이 당첨 가점이 될 수 있고 어떤 단지에서는 50점이 당첨 가점이 될 수 있다. 즉 어느 단지에 어떻게 청약하느냐에 따라 낮은 가점에도 당첨될 수 있는 것이다.

 

청약은 운이 아니라 실력이다!

흔히 "청약은 로또다"라고 말한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추첨제의 경우 청약에 당첨되려면 운도 필요하다. 하지만 청약은 가점을 기반으로 당첨을 결정하고, 가점의 기준은 정해져 있고, 가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가점의 영향을 받지 않는 청약도 있다. 일정 요건만 만족하면 그 안에서는 추첨을 통해 청약당첨자가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이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도 존재한다. , 그게 실력이다.

오징어 게임뿐만 아니라 청약이라는 게임에도 명확하고 분명한 규칙과 법칙이 있다. 복권처럼 신의 뜻에 맡기는 게임이 아니다.

카드놀이든 게임이든 이기기 위해서는 그 규칙을 알고 이용해야 한다. 그 규칙은 관심을 갖고 공부하는 사람에게만 보이는 법이다.

하지만 청약이 만능 해법이라는 말은 아니다. 수도권 요지의 분양 아파트는 대부분 가점제이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가점이 높은 사람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서울과 같은 지역에서 청약에 당첨되기 위해서는 상당히 높은 가점을 자지고 있어야 한다. 당연히 자신의 가점, 특공 해당여부, 청약지역의 아파트의 커트라인 등을 알아야 당첨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고, 이 가능성을 알아야 청약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청약 공부는 돈 공부다.

 

청약의 당첨은 목표와 전략이 있느냐 없느냐에 좌우된다. 그래서 반드시 전략과 목표가 있어야 한다. 이 공부는 한 번 해놓으면 평생 써먹을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 평소에 공부해둬야 한다.

 

다음은 청약 당첨확률을 높이는 7계명이다.

<1계명> 청약저축 납입금액은 무조건 월 10만원으로 하라!

공공분양은 전용 40m2 초과 물건의 경우 예치금 순으로 당첨자를 뽑는다. 1회당 최대 10만원까지 인정해준다.

 

<2계명> 청약의 목표를 분명히 하라!

청약의 목표가 내 집 마련인지, 분양권 전매인지, 입주 후 팔 것인지, 전세를 놓을 것인지 등 분명해야 한다. 그래야 자금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3계명> 지역별로 필요한 청약 예치금을 미리 준비하라!

입주자 모집 공고가 나기 전에 지역별, 면적별 필요예치금을 준비해야 한다.

 

<4계명> 필요자금을 계산하고, 중도금, 잔금대출 가능여부를 확인하라!

 

<5계명> 해당물건의 청약조건을 확인하라!

청약순위, 가점계산, 특공해당 여부, 세대원 청약가능여부, 가점제/추첨제 물량, 전매가능일자 등 자신의 상황에 맞는 조건을 확인하라! 그리고 청약여부는 직접 발로 뛰어 조사해야 한다.

 

<6계명> 당해 지역 거주는 필수, 살고 싶은 거주지역의 거주요건을 충족시켜라!

 

<7계명> 특공 해당 여부는 반드시 확인하라!

특공은 세대당 평생 한 번 쓸 수 있는 기회다. 특히 가점이 낮은 2030세대라면 반드시 해당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특공이 무엇인지,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떤 자격요건을 충족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신혼부부, 생애최초, 다자녀, 노부모, 기관 추천 등 본인이 특공에 해당되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관심을 가지면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게 특공이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사이트에서 각 특공에 자격요건을 확인하라!

 

https://kass33.tistory.com/

 

카사노바 세일즈

정보가 공유되어야 세상은 진화한다. 좋은 세상은 좋은 선배들이 만든다. 그들은 인생길에서 얻은 것을 공유하는 게 선배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본인에게는 인생 후반전의 원칙이 하나 있다. 그

kass33.tistory.com

https://hongikbuza.tistory.com/

 

돈도불이

세간 속에 도(道)가 있다. 부(富)를 이루는 방법을 깨닫는 일은 세간의 일이지만 동시에 도(道) 닦는 일이다. 도(道)를 알아야 돈에 휘둘리지 않게 된다. 부와 가난함의 원인을 외부가 아닌 자신의

hongikbuza.tistory.com

 

반응형